Mac OS와 Window 환경에서 메모 연동을 원한하고 깔끔하게 할 수 있는 툴을 찾고 있었다.
Obsidian 이라는 Markdown 형식으로 관리하는 아주 개발자 친화적인 메모 작성툴을 알게되어 사용중 알게 된 간단 사용 팁을 소개한다.
Obsidian은 커뮤니티 플러그인이라고 하는 vscode의 extension과 같은 기능이 있다.
유용한 플러그인이 많은 데 그중에 Git연동을 통한 자료 백업 기능을 소개하려고 한다.
(해당 기능을 통해 여러 디바이스 간의 자료 연동 가능)
설치 순서
먼저 Github 연동을 위한 설치 순서는 아래와 같다.
특이사항으로는 gitignore을 먼저 추가하고 Obsidian을 연동해 줘야 나중에 .obsidian 내의 workspace.json 파일을 무시할 수 있다.
해당 파일은 Obsidian에서 문서을 열때마다 내용이 수정되어 git연동시 conflict를 유발시킨다.
1. Github 레퍼지토리 생성

2. gitignore 추가(순서 중요!)
Create new file
.DS_Store obsidian/workspace.json
.obsidian/workspace.json
obsidian/workspace-mobile.json
.obsidian/workspace-mobile.json
3. git clone
커맨드창에서 git clone으로 해도 되지만 이번 소개에서는 github Desktop을 이용하여 레퍼지토리를 clone한다.
Obsidian 보관소(Vault) 열기
Git clone한 폴더 열기
Obsidian git 설치
커뮤니티 플러그인 활성화 및 Obsidiand Git 설치
Obsidian git 설정
- 자동 Push/Pull을 하기 위한 설정
Obsidian git 설정 - 1
interval은 본인 환경에 맞게 셋팅 - 시작시 Pull 설정
Obsidian git 설정 - 2 - Commit 작성자 명 설정
Obsidian git 설정 - 3
마치며
아직 Obsidian을 사용한 지 오래되지 않아 알게 된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하면서 사용해보려고한다.
또한 다양한 플러그인이 존재하기에 사용하면서 해당 내용을 정리하여 포스팅 하겠습니다.
(모바일 환경에서 Git 연동하는 방법도 정리되면 포스팅 할 예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nvidia-smi시 Failed to initialize NVML: Driver/library version mismatch 오류 발생 조치 방법 (0) | 2023.10.05 |
---|---|
Freesurfer를 이용한 Brain MRI 영상 처리(feat. mri_synthstrip) (0) | 2023.09.15 |
Langchain으로 Arxiv 문서 가져오기 (0) | 2023.08.16 |
Fastapi, Celery를 이용한 LLM Worker 만들기(feat. Redis) (0) | 2023.08.13 |
Langchain으로 LLaMA2 cpp 버전 사용하기 (0) | 2023.07.31 |